
지난 블로그에서는 부가가치세의 개념과 부가가치세 계산 등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오늘은 부가가치세 납부 일정과 사업자별 부가세 납부 세부 사항을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목록 1. 부가가치세 사업자 종류별 납세 일정 2. 부가가치세 과세 기간 3. 일반과세자의 부가세 신고 4. 간이과세자의 부가가치세 신고 5. 법인사업자의 부가가치세 신고 6. 간이과세자 총정리 7. 간이과세자의 업종별 부가가치율 8. 간이과세자 부가세 계산법 1. 부가가치세 사업자 종류별 납세 일정 먼저 부가가치세 납부 일정은 사업자별로 차이가 있습니다. 부가가치세 신고를 해야 하는 사업자는 개인사업자 중 간이과세자와 일반과세자입니다. 면세사업자는 부가세 신고를 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법인사업자도 부가세 신고를 해야 합니다. 아래 표에 ..

부가가치세율 우리나라 부가가치세율은 10%입니다. 면세상품이 아닌 이상, 대부분의 재화엔 부가세 10%가 포함되어 판매됩니다. 내가 어제 1만 원짜리 물건을 살 때 부가세를 1천 원 내는 거고, 그럼 총 1만 1천 원을 지불한 거죠. 우리가 구매하는 물건의 부가세가 딱 떨어지지 않죠? 반대로 내가 구매한 물건의 부가세가 얼마인지 계산해보려면, 내가 구매한 금액의 110분의 10을 곱하면 부가세가 나옵니다. 예) 내가 구매한 상품 3,000원 x 10/110 = 약 273원 부가가치세는 사업자가 손님한테 1만 1천원 중 부가세 1천 원을 따로 가지고 있다가, 부가세 기간에 세금으로 내게 되는 간접세입니다. 그럼 사업자는 1천 원 다 내는 걸까요? 그렇지 않은데요. 왜냐면 사업자역시도 판매할 물건을 구매하면..

목록 1. 납세 증명 이란? 2. 납세증명서 유효기간 3. 국세 완납 증명서 발급 방법 4. 지방세 완납 증명서 발급 방법 1. 납세 증명 이란? 발급일 현재 체납액이 없음을 증명하는 서류입니다. 📞 체납과 미납은 다릅니다. 미납 내역만을 확인하고 싶으신 경우, 과세 관청에 유선으로 문의하시면 빠르고 정확한 확인이 가능합니다. ① 부가세 / 법인세 / 소득세 : 관할 세무서에서 확인 가능 👉내 지역 세무서 찾으로 바로 가기 ② 지방세 : 관할 구청에서 확인 가능 2. 납세증명서 유효기간 납세증명서의 기본 유효기간은 30일 입니다. 증명서에 유효기간이 명시되어 있으니 날짜를 확인하고 필요한 곳에 제출해야합니다. 3. 국세 완납 증명서 발급 방법 ① 홈택스 가입 및 로그인을 합니다. 국세청 홈택스 www.h..